안녕하세요 별 내용은 아니고 공부하다가 생각나서 빠르고 짧게 글을 써봅니다. 예전에는 상속을 도대체 언제 쓰는거지? 할정도로 상속에 대한 이해도 부족하고개념으로만 알고 있다가 최근에서야 활용하게 되었는데요. 이런 식으로 BaseViewController를 선언해두고뷰 컨트롤러를 만들때마다 상속해서 쓰니까 코드도 짧아지고 생산성이 올라가더라구요.class BaseViewController: UIViewController { override func viewDidLoad() { super.viewDidLoad() setMain() setInterface() setDelegate() setAddTarget() setAddView(..
안녕하세요!계속해서 앱 기능을 구현한 부분을 설명하겠습니다. 오늘은 사실 간단한 내용입니다.저번에 파일매니저로 로컬 기기에 앱 이미지를 저장하는 방법을 다뤘는데요, 맛집을 저장할때마다 기기에 사진이 하나씩 저장된다면데이터 공간을 많이 차지하겠죠? 그래서 기본으로 제공되는 이미지가 아닌 경우(앨범에서 이미지를 가져온 경우)에만파일 매니저를 통해 이미지를 저장하도록 코드를 짰습니다. 코드를 올리지만 제가 작성한 코드보다 더 좋은 코드가 있을거 같습니다! ***이전 글에서 다뤘듯이 저는 코어 데이터에 이미지의 경로(저장한 날짜 데이터)를 저장하고파일 매니저에 파일의 경로(저장한 날짜 데이터)를 만들고 그 경로에 이미지를 저장했습니다.때문에 파일의 경로와 이미지의 경로는 일치하지만둘은 각각 존재합니다. 이미지..
안녕하세요!계속해서 앱 기능과 코드에 대한 내용으로 글을 이어가보겠습니다. 이번 글의 내용은 파일 매니저인데요아래 그림처럼 앱의 이미지 부분을 누르면 앨범의 사진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앨범의 사진을 저장한 경우 앱에 할당된 영역 안의 폴더에 이미지가 저장됩니다. 원래 처음에 앱을 구상할때는 전부 코어 데이터로 로컬 데이터를 처리하려고 했습니다만...자료를 찾다보니 이미지 처럼 용량이 큰 경우에는 파일 매니저로 해야한다고 하더라구요? 코어 데이터를 사용만 하면서 개념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었는데 이참에 조금 더 자세하게 알아봤습니다. 단순하게 로컬에 데이터를 저장할때는 무조건 코어 데이터를 사용한다고 생각하면이미지 파일을 코어 데이터로 저장해도 되고 실제로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코어 데이터는 '객체..
안녕하세요!계속해서 앱을 제작하며 사용한 코드를 설명하겠습니다.오늘은 앱의 데이터를 어떻게 저장할까?를 고민하고 적용한 방법에 대한 소개입니다. 앱에서 맛집을 저장할 때 아래의 그림처럼 태그를 중분류 - 소분류로 나누어 저장합니다. 그래서 데이터 구조는 아래의 그림처럼 하나의 식당에 여러개의 태그가 들어가는 형식으로 처리되어야 했습니다. 태그가 몇개가 추가될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코어 데이터의 entity에 들어가는태그에 해당하는 Attribute의 개수를 유동적으로 처리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entity를 식당에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RestaurantData entity와태그 정보를 관리하는 CategoryData entity로 분리하였습니다. 그리고 RestaurantData enti..